20210323 React Hooks03 (Nooks : useConfirm, usePreventLeave, useBeforeLeave, useFadeIn, useNetwork, useScroll, useFullscreen), nomadcoder
React Hooks
-
노마드코더의 React Hooks 강의를 듣고 작성 함
지난 시간
- 지난 시간에는 React의 hook중에서도 useEffect, useRef에 대해서 알아 보았고 그것을 통해 만든 nooks (nico’s hooks) 중에서 useTabs, useTitle, useClick을 알아보았다.
usePreventLeave & useConfirm (nico’s hook)
- useConfirm 과 usePreventLeave는 사실 hooks가 아님 (useEffect, useState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)
- 하지만 이를 통해서 좋은 함수형 프로그램이 어떤건지 알수 있음
useConfirm
-
사용자가 무언가 하기전에 확인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는 작업을 하면 이벤트 실행전에 메세지를 보여줌
-
useState, useEffect 사용 X
useConfirm
함수는(message: string, onConfrim: function , onCancel: function)
이라는 인자를 받아온다.- 그래서 해당 함수 안에 있는
confirmAction
이라는 함수가 message를 받아와서 알림창으로 띄우고, 확인 및 취소 중에 확인: true , 취소: false 를 return - 그래서 확인시에는 onConfirm 으로 들어오는 콜백함수를 실행
- 취소시에는 onCancel로 들어오는 콜백함수를 실행
- 알림창을 띄우기 전에 유효성 검사(Validator)를 실시
import React from "react";
import './App.css';
const useConfirm = (message = "", onConfirm, onCancel) => {
// 유효성 검사 (Validator)
if(!onConfirm || typeof onConfirm !== "function"){
// 없거나, 함수가 아니면 빠져나옴
// 즉, 있고, 함수일때만 실행된다는 얘기
return;
}
if(onCancel && typeof onCancel !== "function"){
// (선택사항) 있고 함수가 아닐때만 나온다.
// 즉, 없어도 되고 만약 있다면 function 이어야 만 실행됨
return;
}
// 알림창 및 해당 콜백 함수 실행
const confirmAction = () => {
if(window.confirm(message)) {
// 주의! window를 써줘야 confirm이 무슨 함수인지 인지함
onConfirm();
} else {
onCancel();
}
}
return confirmAction;
};
- component 출력 부분
- 알림창 확인및 취소시 호출될 deleteWorld(삭제), abort(중단) 콜백 함수 만듦
- confrimDelete라는 이름으로 useConfirm을 주어 함수로 만듦
- button 요소의 onClick prop에 confrimDelete를 줌
- 삭제 하시겠습니까? -> (Ok) or (No) -> (Deleting the world) or (Aborted)
function App() {
const deleteWorld = () => console.log("Deleting the world...");
const abort = () => console.log("Aborted")
const confirmDelete = useConfirm("Are you sure ?", deleteWorld, abort);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>
<button onClick={confirmDelete}>Delete the world</button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usePreventLeave
- 브라우저 창을 닫기 버튼을 눌렀을 때 브라우저 창이 닫히기 전에 알림창을 띄워 바로 닫히는 것을 방지함
- 이것 또한 useState, useEffect를 사용하지 않아 hook은 아니지만 함수형 프로그램을 다루는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.
usePrevnetLeave
함수는 일단jsx button에서 실행될 함수 두개
를 가지고 있고, 각각은 모두 web 브라우저 창을 요소로 event(“beforunload”)를 감지해 닫히기전에 구현하고자 하는 callback 함수가 실행되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이벤트를 감지 하거나 안하게 설정하기 위해서enable
,disable
을 두었다.beforeunload
는 window가 닫히기 전에 function이 실행되는 걸 허락함- callback 함수인
listener
는 event를 받아서 새로고침이 안되게preventDefault
처리하였고,event.returnValue
값을 주어야 작동하게 된다. usePreventLeave
함수는 최종적으로 버튼을 위한 두개의 함수를 return 하여 전달한다.- MDN Event : beforeunload
import React from "react";
import './App.css';
const usePreventLeave = () => {
const listener = (event) => {
event.preventDefault();
event.returnValue = "";
}
const enablePrevent = () => window.addEventListener("beforeunload", listener);
const disablePrevent = () => window.removeEventListener("beforeunload", listener);
return {enablePrevent, disablePrevent};
};
- component 출력 부분
- uesPreventLeave 함수안의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아래처럼 가져오게 된다.
- 그리고 버튼 요소에 onClick prop에 연결하게 된다.
function App() {
const { enablePrevent, disablePrevent} = usePreventLeave();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>
<button onClick={enablePrevent}>Protect</button>
<button onClick={disablePrevent}>Unprotect</button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useBeforeLeave (nico’s hook using useEffect)
- 마우스가 페이지를 벗어 나는 경우 실행 되는 function
- 팝업 같은 것을 실행 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음
useBeforeLeave
의 경우 useEffect를 사용한 hook 임useBeforeLeave
는 커서가 page를 넘어가는 경우 실행할 callback 함수를 인자(onBefore)로 받는다. (당연 함수를 받아오니까, 유효성 검사 필요)useBeforeLeave
가 호출되면 제일먼저useEffect
가 호출되며 DIdmount를 하게 되는데 EventListener를 넣어 mouseleave가 발생하면 handle 함수를 호출한다.- 그리고 EventListener를 켰기 때문에 return 부분(WillUnmount)에 remove를 하여 닫아준다.
handle
함수의 경우 event를 받아서 event의 clientY 값을 들고와서 조건에 따라useBeforeLeave
를 실행시킬 때 받아온 onBefore 인자(함수)를 실행시키게 한다.
import React, { useEffect } from "react";
import './App.css';
const useBeforeLeave = (onBefore) => {
const handle = (event) => {
const {clientY} = event;
if (clientY <= 0) { // 밖으로 나가는 종류가 2가지임 위로 아래로, 위로만 나가는 것을 인식하고 싶을 때
onBefore();
}
}
useEffect(() => {
document.addEventListener("mouseleave", handle)
// componentWIllUnmount
return () => document.removeEventListener("mouseleave", handle);
}, []); // [] 단 한번만 실행
// 유효성 검사
if(!onBefore || typeof onBefore !== "function") {
return;
};
}
- component 출력 부분
useBeforeLeave
에 넣을 함수(나갔을 때 실행 할 코드)인begForLife
함수를 작성한다.- 그리고,
useBeforeLeave
의 경우return 값이 없기 때문에
값을 받아오지 않고 바로 함수자체를 실행 시키면 되겠다.
function App() {
const begForLife = () => console.log("Pls don't leave!");
useBeforeLeave(begForLife);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>
<h1>Hello</h1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useFadeIn (nico’s hook)
- 물론 CSS로도 가능하지만 animation을 hooks를 통해서도 가능함
useFadeIn
은 useEffect를 사용한 hook으로 CSS에서의 transition, opacity 속성을 다루고 있다.
useFadeIn
훅은 duration, delay를 인자로 받는 함수이다.- fadeIn의 경우 element를 다뤄야 하기 때문에
useRef()
훅을 사용해서 가져온다. - 그렇기 때문에 나중에 출력하고자 할때는 해당 요소 ref prop에
useRef
를 연결해 줘야 한다. useEffect
를 통해서 기본적으로 가져온 element를 current prop를 끌어내서 style 속성을 변화를 주어 fadeIn animation 효과를 준다.transition
속성에서는 요소를 디테일하게 값을 줄수 있다.- opacity (불투명 0~1) 속성을 duration(변하는데 걸리는 시간) delay(해당 속성 값을 실행시키기 전까지 기다리는 시간) 이렇게 주었다.
opacity
마지막에는 1을 줌으로서 잘 보이게 함
useFadeIn
함수는 element 그리고 style opacity 0을 return 함으로써 초기에는 render 되면 안보이게 되는 것임 그러다가 useEffect가 Didmount 되어 animation 이 실행되어 변하는 것임
import React, { useRef, useEffect } from "react";
import './App.css';
const useFadeIn = (duration = 1, delay = 0) => {
const element = useRef();
useEffect(() => {
if(element.current){
const {current} = element;
current.style.transition = `opacity ${duration}s ease-in-out ${delay}s`;
current.style.opacity = 1;
}
}, [duration, delay]);
if (typeof duration !== "number" || typeof delay !== "number"){
return;
};
return {ref: element, style: {opacity:0}};
}
- component 출력 부분
- useFadeIn을 설정하여 useRef를 만들어 주고 해당 하는 요소에 ref연결시킨다.
- ref 연결 편의상 애초에 useFadeIn return을 ref, style 을 가진 객체형으로 return시켜 가져온것 임 -> 편하게
{...fadeInH1}
이런식으로 풀어 헤칠수 있음
function App() {
const fadeInH1 = useFadeIn(1, 2);
const fadeInP = useFadeIn(5, 10);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>
<h1 {...fadeInH1}>Hello</h1>
<p {...fadeInP}>check the opacity and animations with hookssssssssssss</p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useNetwork (nico’s hook)
- navigator가 online 또는 offline이 되는 걸 막아 주거나 알려줌
- MDN : Web API Navigator
- Navigator는 사용자의 신원 정보 및 상태를 나타냄
useNetwork
훅은 기본적으로 onChange라는 함수를 인자로 받는 매개변수로 이루어 져있다.- 기본적으로
navigator.onLine
은 사용가 online 이면 true , offline이면 false를 return함 - 그 true 와 false 값을 status라는 변수명으로
useState
를 통해서 할당 시킴 - 그리고 나중에 event 발생때 호출할 콜백함수인
handleChange
함수를 만듦useNetwork
에서 받은 onChange가 함수면 onChange함수를 호출하여 onChange가 navigator.online을 받아 가공하게 끔 한다.- 그리고 마지막으로
setStatus
를 통해 값을 변경 시켜준다.
- 그리고
useNetwork
가 status까지 render를 마쳤을 때 useEffect가 didMount를 시작하는데 이벤트 리스너로 online, offline 변화를 듣는다. 그리고 return 이후에 이벤트리스너를 제거하게 코드함으로써 이벤트 리스너를 회수한다.
import React, {useState, useEffect } from "react";
import './App.css';
const useNetwork = onChange => {
const [status, setStatus] = useState(navigator.onLine);
// navigator.onLine 은 true or false를 말해줌
const handleChange = () => {
if (typeof onChange === "function"){
onChange(navigator.onLine)
}
setStatus(navigator.onLine);
}
useEffect(() => {
window.addEventListener("online", handleChange);
window.addEventListener("offline", handleChange);
return () => {
window.removeEventListener("online", handleChange);
window.removeEventListener("offline", handleChange);
}
}, [status]);
return status;
}
- component 출력 부분
- onChange로 들어올 함수를
handleNetworkChange
로 지정한다.- 해당 함수는 console에 online상태 여부에 따라 해당 어구를 반환한다.
- onLine 변수에 useNetwork를 통해서 만들어 준다.
- 브라우저 console창의 network 탭에서 online상태를 조정하면 해당 어구가 나타난다.
- onChange로 들어올 함수를
function App() {
const handleNetworkChange = (online) => {
console.log(online?"We just went online":"We are offline")
}
const onLine = useNetwork(handleNetworkChange);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>
<h1>{onLine ? "Online" : "Offline"}</h1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useScroll (nico’s hook)
- 유저가 scroll을 해서 특정 조건 좌표를 지나치는 경우 발생할 것 들(ex. 색상 바꾸기 등..)
useScroll
훅은 useState와 useEffect으로 만들어 졌다.- 딱히 인자는 받지 않고 useState를 통해서
x, y 의 좌표 값
을 가지는 state를 가진다. - 그리고 스크롤 이벤트 발생시 호출할 콜백 함수인
onScroll
을 만듦onScroll
은window.scrollX
와window.scrollY
로 현재 스크롤 좌표를 직접 적으로 받아서 setState를 통해 state에 x, y의 좌표를 넣어 수정 함
- 최종적으로
useScroll
은 state를 return하며 render가 끝나면 useEffect
를 통해서 이벤트 리스너로 스크롤 이벤트를 받아 onScroll 콜백 함수 호출, 그리고 return (willUnmount)의 경우 리스너 제거 실시
import React, {useState, useEffect } from "react";
import './App.css';
const useScroll = () => {
const [state, setState] = useState({
x: 0,
y: 0
});
const onScroll = () => {
setState({x: window.scrollX, y: window.scrollY});
}
useEffect(() => {
window.addEventListener("scroll", onScroll)
return () => window.removeEventListener("scroll", onScroll);
}, [])
return state;
}
- component 출력 부분
- useScroll를 통해서 y좌표를 받아 옴
- 스크롤이 생길수 있게 가장 최상위 요소에 style height 값 1000vh 줌
- 그리고 변화줄 요소에 position fixed를 주어서 스크롤 시에도 화면 기준의 위치로 따라 오게끔 하고 color 속성에 조건을 주어서 y 좌표 상태에 따른 색상값을 다르게 함
function App() {
const {y} = useScroll();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 style=>
<h1 style=>Hi</h1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useFullscreen (nico’s hook)
useFullscreen
은 event 발생시 해당 요소를 전체화면으로 만들거나 다시 원상 복귀 시키는 훅임 (useRef 씀)useFullscreen
함수의 경우 callback 함수를 인자로 받는다.- useRef를 사용해서 해당 요소를
element
변수에 가져온다.
useFullscreen
함수는 3가지 함수로 이루어 져있음- 1)
runCb
: isFull 이라는 boolean 의 인자를 받아서useFullscreen
의 인자 callback이 함수인지를 체크해주는 유효성 검사 함수이다. 함수가 맞으면 해당 boolean을 가지고 callback함수에 집어 넣어 실행시킨다. - 2)
triggerFull
: 인자를 받아 오지 않고 단순히 event를 실행 했을때 해당 요소를 fullscreen으로 바꾸는 함수이다. 안에 마지막에는 rubCb(true)를 실행하여 현재 상태를 표현해준다. - 3)
exitFull
: 역시 인자를 받지 않고document.fullscreen
의 상태가 true인 경우에만 창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함수를 실행한다.
- 1)
- 주의
exitFull
은document
를 통해 실행시키고triggerFull
에서는 해당element
를 통해 접근하여 requestFullscreen함수를 호출함- 그리고 모든 브라우저에서 이름이 일치되는 API가 아니기 때문에
cross browsing
을 위해서 모두 조건을 주어 다루었다.
useFullscreen
은 최종적으로element, triggerFull, exitFull
을 return 한다.
import React, {useRef} from "react";
import './App.css';
const useFullscreen = (callback) => {
const element = useRef();
const runCb = isFull => {
if(callback && typeof callback === "function") {
callback(isFull);
};
};
const triggerFull = () => {
if(element.current) {
if(element.current.requestFullscreen){
element.current.requestFullscreen();
} else if(element.current.mozRequestFullscreen) {
element.current.mozRequestFullscreen();
} else if(element.current.webkitRequestFullscreen) {
element.current.webkitRequestFullscreen();
} else if(element.current.msRequestFullscreen) {
element.current.msRequestFullscreen();
}
runCb(true);
}
};
const exitFull = () => {
if (document.fullscreen === true) {
if (document.exitFullscreen) {
document.exitFullscreen();
} else if (document.mozCancelFullscreen) {
document.mozCancelFullscreen();
} else if (document.webkitExitFullscreen) {
document.webkitExitFullscreen();
} else if (document.msExitFullscreen) {
document.msExitFullscreen();
}
runCb(false);
};
};
return {element, triggerFull, exitFull };
};
- component 출력 부분
onFullS
라는 useFullscreen의 인자가 되는 콜백 함수 지정 (현재 상태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)useFullscreen
에 콜백 함수onFulls
를 넣어 해당 element, triger, exit 함수를 받아온다.- 이미지 자체에다가
ref={element}
를 주면 전체 화면시 버튼이 보이지 않기때문에 이미지의 상위 div 요소에 주어 버튼이 표시 될수 있도록 한다. - div 안에는 exitFull 가능한 버튼이 들어 있음
- 각 버튼에 onClick으로 exit, trigger 연결
function App() {
const onFullS = (isFull) => {
console.log(isFull ? "we are full" : "We are small");
}
const { element, triggerFull, exitFull } = useFullscreen(onFullS);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 style=>
<div ref={element}>
<img alt="MacBook_img" src="https://images.unsplash.com/photo-1580927752452-89d86da3fa0a?ixid=MXwxMjA3fDB8MHxwaG90by1wYWdlfHx8fGVufDB8fHw%3D&ixlib=rb-1.2.1&auto=format&fit=crop&w=1050&q=80" />
<button onClick={exitFull}>Exit fullscreen</button>
</div>
<button onClick={triggerFull}>Make fullscreen</button>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- gif 로 보여주고 싶었지만, 전체화면시 녹화가 풀려서 사진으로 대체함